직장인의 인맥
![]() |
한국 직장인들은 자신의 인맥을 57명쯤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맥관리사이트인 ‘인크루트 인맥(nugu.incruit.com)’은 여론조사 기관 엠브레인과 함께 직장인 2116명의 인맥 수를 조사한 결과, 한사람당 평균 57.2명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휴대전화에는 평균 146.3명의 전화번호가 저장돼 있었다. ‘인맥’은 사회집단이나 사회생활을 통해 친분을 유지하며 교류가 이뤄지는 인적관계를 가리킨다.
조사 결과 직장인들의 인맥은 20대(49.3명)와 30대(47.2명)를 거쳐 활동이 가장 왕성한 40대에 79.7명으로 제일 많다가 50대 이상(53.5명)이 되면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의 인맥 수는 평균 66.9명으로 여성(44.3명)보다 많았다.
다만 힘들고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나서서 자신을 도와줄 수 있는 인맥은 평균 10.9명으로 많지 않았다. 인맥이 약 80명이나 되는 40대(12.6명)나 53.5명의 50대(12.4명)나 정작 도움의 손길을 뻗을 인물은 많지 않았다. 또 관혼상제 등 경조사에 올 수 있는 인원은 평균 68.4명으로 조사됐다. 상대적으로 사회활동이 많은 편인 남성이 84.7명으로 여성(6.5명)보다 많았다. 40대가 가장 많아 82명으로 응답했으며, 퇴직 등이 많은 50대 이상은 10.46명에 그쳐 20대(50.4명)보다 적었다.
직장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계는 ‘친척 등의 혈연(53.8%)’이었다. 이어 ‘동기동창 등 학연(20.5%)’ ‘직장과 업무를 통해 알게 된 인맥(16.0%)’ 순이었고 ‘지역연고를 통한 지연(6.8%)’은 낮았다.
여성(57.6%)이 남성(50.9%)보다 혈연을, 남성(22.3%)은 여성(18.2%)보다 학연을 중시했다. 연령별로 볼 때 나이가 많을수록 혈연(50대 이상 57.9%)을, 젊을수록 학연(20대 30.6%)을 중요하게 여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