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스크랩] 문학교육과 베트남의 한국문학 교육

굿멘 2011. 8. 4. 14:24

과목명 : 현대교육사조와 한국교육

담당교수: 오만석 교수님

제출자 : 당람장(국문학, 박사 2차)

제출일 : 2010.12.20.

 

 

 

문학교육과 베트남의 한국문학 교육

 

 

- 목차 -

 

1. 서론

2. 문학교육 과정 분석

2.1. 문학 목표

2.2. 문학교육 세부내용

3. 베트남에서 한국문학 교육현황과 향후 방안

3.1. 베트남의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 개관

3.2. 베트남의 한국문학 교육

4. 결론

 

 

1. 서론

 

필자는 한국 근 ․ 현대 문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다. 그중에 현대시와 소설, 특히 일제 강점기 민족 해방 운동과 계급 해방 운동을 지향했던 리얼리즘 시와 소설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다. 졸업한 후 베트남에 돌아가서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가르칠 마음을 먹었다. 본 연구는 이런 생각으로부터 출발했다.

우선,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교육 분야를 탐색하고 분석하기로 한다. 언어교육과 문학의 관계를 통하자면 언어교육에서 문학 작품이 중요하다는 점은 비교적 널리 인정되고 있다. 언어교육은 궁극적으로 언어의 본질에 입각한 활동과 탐구이며, 이 같은 언어의 본질에 대한 탐구는 문학 능력을 통한 인간다움의 성취라는 문학교육의 목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문학 작품은 언어활동의 구체적인 실현태이자 살아 있는 언어 자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교육은 곧 언어교육 자체라고 할 수 있다. 문학을 통한 한국어 교육에는 다시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과 문학을 통한 한국의 사회 문화 교육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즉,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통한 언어 능력 함양과 문학 작품에 반영된 사회 문화의 이해를 통한 문화 능력 함양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문학교육의 탐색과 분석에서 더 나아가 실질적 사례로 베트남에서 한국문학 교육현황을 살펴보려고 한다. 베트남에는 최근 몇 년 사이에 한국어나 한국학을 배우려는 요구가 증가되면서 한국어 관련 학과, 한국학 교육기관이나 학회의 활동이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다. 현재, 베트남의 몇 개 대학교에서 한국어와 한국학 외에 한국문학 등을 집중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이와 같은 베트남의 문학교육 현황과 사례들을 통해 향후 문학교육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2. 문학교육 과정 분석

 

2.1. 문학 목표

‘문학’ 과목의 궁극적 목표는 문학의 올바른 이해와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기르며, 자아를 실현하고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함양하는데 있다.

전문성과 영역별 목표는 지식, 활동, 태도의 범주에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문학에 대한 지식, 문학 경험, 능동적인 문학 활동을 목표로 한다. 이 중 문학경험은 학습자가 문학과 자신의 삶의 밀접한 관련성을 체험할 때 문학 학습이 현실성을 띨 수 있음을 강조한 것이며, 아울러 객관적인 이해 대상으로서의 문학만이 아니라 문학의 생산과 수용 경험이 인간의 의미 있는 경험의 하나로 인식될 때 문학의 실질적인 가치가 구현된다는 과정을 도입한 것이기도 하다. 이상의 체험과 인식에서 학습자가 문학 활동, 즉 문화의 수용과 생산 활동에 능동적으로 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 언어에 대한 통찰력, 창의적인 사고력과 소통 능력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는 ‘창작’을 ‘생산’으로 확대함으로써 작품의 창작 외에 작품의 다양한 응용 활동도 문학 활동에 포괄하였다. 아울러 문학 활동이 ‘언어에 대한 통찰력’ 신장에 기여함을 밝혀 학습자의 모국어에 대한 감수성과 직관력 향상이 문학 학습의 주요 목표임을 강조했다. 창의적인 사고력은 문학 활동에 요청되는 상상력의 발휘가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력으로 이어짐을 제시한 것이며, 창의적인 소통능력은 문학의 수용과 생산 자체가 소통일 뿐만 아니라 문학 활동을 통한 상상력의 신장과 감수성의 발달이 학습자로 하여금 인간과 세계를 통찰하고 언어활동을 통해 교류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셋째, 문학을 통한 인간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 이해, 문학의 가치와 아름다움의 향유,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참여하기를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문학 학습의 궁극적 지향점의 하나가 문학이 다루는 다양한 주제들을 매개로 학습자가 인간과 세계의 여러 과제들을 실질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임을 강조한 것이다.

문학의 가치와 아름다움의 향유는 문학 학습의 또 다른 궁극적 지향점이다. 문학의 가치와 아름다움의 향유는 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핵심 요인이다. 이러한 문학 향유가 개개인의 습관이 되면 이는 곧 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된다. 이를 통한 문화의 발전은 물론 공동체 자체의 통합과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문학’과목의 목표는 학생 공통 기본 과목의 ‘국어’과목의 목표와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국어’ 과목 중 ‘문학’ 영역의 목표를 심화 · 발전시켜 종합한 것이기도 하다.

 

2.2. 문학교육 세부내용

이 부분에서는 문학의 성격, 문학의 활동과 문학의 위상 및 문학과 삶을 나눠서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2.2.1 문학의 성격

문학을 이해하려면 문학이 인간에게 가치 있는 내용을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임을 이해하고 문학과 언어의 관계 및 소통 활동으로서 문학의 특성을 이해해야한다. 또한 문학이 인간의 인지적·정의적·심미적 활동의 산물이자 문화의 한 양식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문학의 역할을 말하자면 문학이 인간과 세계의 이해를 돕고,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하며, 정서적·미적으로 삶을 고양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문학을 통해 상상력과 감수성을 길러 수준 높은 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2.2.2. 문학 활동

이 부분은 문학의 수용, 문학의 생산, 그리고 문학의 소통을 탐색한다.

문학의 수용은 문학의 내용, 형식, 표현의 유기적인 연관을 고려하며 작품을 수용하는 것이다. 또한, 섬세한 읽기를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하며 평가하고 이해와 감상 및 평가의 결과를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내면화한다. 문학의 생산은 내용과 형식, 맥락, 매체를 바꾸어 작품을 비판적·창조적으로 재구성하고 다양한 시각과 방법으로 작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문학의 소통은 작가·작품·독자 및 생산·유통·수용의 역할과 틀을 이해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한 문학 작품의 수용과 생산에 참여한다.

2.2.3. 문학의 위상

문학을 통해서 예술, 인문, 사회, 문화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의 전통과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그 외에 문학을 할 때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점에서 국내 문학과 세계 문학을 이해할 수 있고 국내 문학과 세계 문학의 관련 양상과 흐름을 개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2.2.4. 문학과 삶

문학과 삶은 매우 깊은 관계가 있다. 문학은 인간의 삶을 반영하다고 한다. 문학을 통해서 사람마다의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의미에 대하여 질문하며 내면세계를 확충하고 타자를 이해하고 삶의 다양성을 수용한다. 그 외에 문학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의 진실을 심미적으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안목을 기른다. 사람마다의 자아뿐만 아니라 문학과 공동체도 갚은 관계가 있다. 즉, 문학을 통하여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 연대 의식을 가지며 양성 평등, 사회적 소수자, 생태, 미래 사회 등 공동체의 관심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소통한다.

 

3. 베트남에서 한국문학 교육현황과 향후 방안

 

3.1. 베트남의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 개관

한국과 베트남은 역사와 문화적으로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나라이다. 베트남과 한국의 직접적인 접촉은 베트남의 이용상 (李龍祥)왕자가 국내에서의 정변을 피해 고려에 망명 귀화한 122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화산 이씨의 시조가 되어 한국에 정착하였으나, 그 이후로 한국과 베트남의 인적 교류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16-17세기에 이르러서는 조선과 베트남 사신이 몇 차례 중국 북경에서 만나 시문(詩文)을 주고받는 일이 있었다. 그 중에는 조선의 문인 이수광 (李睟光)과 베트남 사신 풍칵코안(Phung Khac Khoan)의 만남이 가장 두드러진다.

20세기에 들어와서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경제, 사회, 교육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더 활발해졌다. 베트남과 한국 간 공식적으로 외교관계는 1992년에 수립되었다. 그리고 1992년에 한국학 연구기관과 교육기관들이 동시에 설립되었다. 하노이 국립대학교와 호치민 국립대학교에는 국제관계 교수·동아시아문학 교수, 역사 교수들이 참여하는 한국학 연구 그룹이 형성되었다. 또한 외무부의 동북아시아국과 국제관계 학원 역시 한국어로 한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한-베트남 외교관계가 수립된 그 이듬해인 1993년 9월 하노이종합대학교 문학부에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면서 본격적인 한국어 교육이 시작되었다. 또한 1994년 10월 국립 하노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에 동방학부가 설립되어 중국학, 일본학, 한국학에 대한 교육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대학 내에 두 개의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는 문제가 제기 되었고, 결국 문학부의 한국어 강좌는 폐쇄되고 오늘날 동방학부 한국학과에서만 한국학을 가르치고 있다. 1995년에는 국립 호치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에도 한국어 전공이 개설되었다.

이 밖에도 1997-1998학년도에 하노이 사범대학교에 2년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었고 곧이어 1999-2000학년도부터 한국어과가 4년제로 개편되었다. 또한 사립대학인 호치민외국어정보대에 한국어과가 개설되었고, 공립 하노이외국어대학, 호치민시에 위치한 사립대학인 홍방(Hong Bang) 대학교, 반랑(Van Lang)대학교 등에 한국어 강좌가 잇따라 개설되었다. 1998년에는 국립 하노이대학교에 한국학연구센터가 개설되었으며, 이외에도 한국어를 필요로 하는 베트남인들을 위해 단기간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는 몇 몇 기관들이 문을 열었다.

1993년 베트남에서 한국어가 처음 가르쳐지기 시작하였을 때 한국어강사로 베트남에 유학 온 한국 학생들과 1975년 이전 남북한에서 한국어를 배운 사람들이 초빙되었으며, 1996년 이후에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서 파견된 한국어강사들이 활동하였다. 1998년부터 한국에 유학해 석사학위를 받은 베트남 학생들이 강사로 활동하고, 한국에서 온 교수들도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을 담당하기 시작하였다. 이제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한국에 유학을 한 학생들의 수량이 점점 늘면서, 한국인 유학생과 북한에서 한국어를 배운 베트남인 강사들을 대체하고 있다. 2005년부터 하노이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호찌민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 동방학부 한국학과뿐만 아니라 기타 한국어나 한국학을 가르치는 대학의 강사는 80%이상이 한국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전문강사이다.

한국학 교육을 시작할 당시 적당한 교재가 없어 주로 한국유학생이 가지고 온 교재들과 영어, 불어 등으로 쓰여진 책을 사용하였다. 1995년부터 한국국제교류재단이 한국어 교과서와 한국학 연구서적들을 지원받아 많은 도움을 되었지만, 한국어연구 서적은 부족하여 한국어와 한국학을 가르치는 사람들은 영어, 프랑스어 서적을 참고하여 교육하였다.

1998년부터 한국학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한국어 교과서, 한국역사서, 전통문화에 대한 책들이 베트남에서 연구 출판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각종 세미나에서 발표된 원고들도 한국학 연구와 교육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었다. 당시 출판된 한국관련 서적은 “베트남과 한국의 문화와 유사성”, “한국문화ㆍ문학 소개”, “한국의 문화와 역사”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하노이주재 한국대사관과 호찌민주재 한국총영사관 및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지원해 주고 있는 한국어 교과서, 한국잡지, 서적 등은 한국학 연구 발전에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특히 주 베트남대사관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는 하노이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내에 한국학 자료실 개관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학연구를 위한 교재는 계속 수정, 보완되어야 하는 것이다.

 

3.2. 베트남의 한국문학 교육

한국문학 교육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각 대학 한국학과에서 중요하게 교육되지 않고 있으며 학교마다의 체계도 각각 다르다. 어떤 학교에서는 이 과목을 가르치는데 있어 상황에 따라 교육의 실시여부가 수시로 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베트남에는 한국문학 영역이 아직 따로 분류되지 않았고 전문강사도 아직 없다고 말할 수 있다. 단지, 강사들은 한국어를 집중적으로 가르치면서 한국역사와 문화, 한국경제와 같은 과목처럼 한국문학을 추가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베트남에서 한국문학 교육은 다음의 3가지 방향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한국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담당하는 강사는 한국어를 주목적으로 하고 한국문학을 추가로 가르치고 있다. 이 문학교육은 하노이와 호찌민시에 있는 두 국립대학이 담당하고 있다.

둘째, 일반 문학연구자는 한국문학만을 공부하지 않지만 문학 자체에 대한 관심이 있어 외국 문학 연구의 한가지로 한국문학에 관심을 두는 경우이다.

셋째, 일반 문학연구자들은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 책을 통해서 한국문학을 접하고 베트남문학과 한국문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연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대학교의 문학학과에서 대부분 이루어진다.

 

첫 번째의 한국어와 한국문학 강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과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분

과목명

수업수

년수

학년

필수

한국어

1200~1500

4

1-4

필수

한국 역사

45

1

3

필수

한국 경제, 법률

60

1

4

필수

한국문학

45

1

3-4

필수

한국문화와 사회

60

1

3-4

필수

한국 풍속, 지리, 기후

45

1

3

필수

한국의 국제관계

60

1

4

필수

한국과 베트남 관계

30

1

4

선택

한국인의 업적

30

-

4

선택

한국대표기업

45

-

4

선택

한국경제 발전

30

-

4

선택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의 유사성

30

-

4

 

위의 표를 보면 한국문학은 다른 필수 과목과 마찬가지로 큰 비중을 갖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3,4학년학생만 한국문학을 공부할 수 있다. 대부분 학생들은 1학년부터 4학년까지 한국어만을 집중 공부하는 것이다.

한국어가 기본 교육일 뿐 한국 문학, 문화와 역사, 한국경제 등은 큰 비중을 갖지 않는다. 그래서 한국의 문화, 문학, 사회, 역사 등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도 거의 없다. 문학에 관한 전문서적은 다음과 같은 몇 권에 그칠 뿐이다.

 

- Nguyen Long Chau(호지민국립대학교 교수),『한국문학입문-Nhap mon Van hoc Han Quoc』, 교육출판부, 1997.

- Tran Thuc Viet (하노이국립대학교-인문사회과학 대학교 -국문학과 교수),『한국문학 Van hoc Korea- Trieu Tien - Han Quoc』, 문학출판사, 2005.

- 김성범(베트남 사회과학 한국학센터 워원), 『한국이야기-Cau chuyen Han Quoc』, 세계출판사, 2006.

- 안경환(영산대학교 베트남학과 교수), 『한국전래동화- Truyen co Han Quoc』, 젊음출판사, 2002.

 

교육과정이 지속되지 않고 학습자들이 일정한 수준에 이르지 않았는데도 교육을 중지하게 되면 공부했던 지식을 단기간 동안 쉽게 잊어버릴 수 있다. 또한, 한국문학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들의 문학에 대한 전문성도 부족한 실정이다. 베트남에서는 각 교육센터 간의 문학 교육에 대한 협력 및 경험 정보의 교환이 부족하다.

한국학 교육, 특히 한국학과에서의 문학수업 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한국문학 교육체제의 재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베트남의 향후 한국문학 교육을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베트남 한국문학 학습자들에 대한 효과적인 문학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학을 교육하기 전에 효과적인 한국어와 한국학(한국문화와 역사 등) 교육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 시간을 대폭 늘려야 하며, 체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한국어 교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둘째, 수준 높은 한국어와 한국문학 교육을 담당 할 수 있는 한국학 전문가와 교수 양성을 위해 우수한 베트남 학자들을 한국의 석·박사과정에 유학시켜야 한다.

셋째, 한국문학을 가르칠 때 한국문학사를 중심으로 교육해야 한다. 왜냐하면 문학사는 문학의 첫걸음이며 맨 마지막 도착점이라 할 수 있다. 문학사 교육은 개별 작품 중심의 문학 교육에서 학생들이 놓치기 쉬운 문학 전체에 대한 전체적이고 체계화된 지식을 습득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넷째, 한국어로 된 한국문학 및 한국어 서적이 베트남어로 번역되어 교육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국문학 및 한국어 연구와 관련된 한국과 베트남 대학교 및 연구소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4. 결론

문학교육의 목표는 문학의 올바른 이해와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기르며, 자아를 실현하고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함양하는데 있다. 우리는 문학을 통해서 예술, 인문, 사회, 문화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국가의 전통과 특질까지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문학을 통하여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 연대 의식을 가지며 양성 평등, 사회적 소수자, 생태, 미래 사회 등 공동체의 관심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소통한다.

이와 같은 문학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방안의 하나로 활용하는 것은 단순한 국어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하다기 보다는 인간의 인지적·정의적·심미적 활동 영역을 확대하고 인간의 삶에 가치를 부여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것이다.

※참고문헌

 

김대행 외, ?문학교육원론?, 서울대출판부, 2000.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주)미래엔 컬처그룹. 2008.

․ Ha Minh Thanh, 「베트남에서의 한국학 현황 및 전망」, 학술지논문- 인하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2006.

Ly Kinh Hien,『베트남에서의 인문 한국학』,학술지논문-인하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2007

․ 허재영, 김슬옹, ?국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서광학술자료사, 1993.

․ 윤여학,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한국문화사, 2007.

출처 : 당람장 (DANG LAM GIANG) ^ ^
글쓴이 : 당람장 원글보기
메모 :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향 Que huong>  (0) 2011.08.04
부활절 연합 전도 집회  (0) 2007.08.14
GM대우 하노이 공장을 가다 !  (0) 2007.07.09
간단하게 달랏(Dalat) 을....  (0) 2007.05.23
누가 깨어나는 베트남을 움직이는가  (0) 2007.05.18